안녕하세요 꿀팁깡패 입니다. 오늘은 증여세 면제 한도액 공제대상 정보입니다. 세금 이야기를 처음 다루는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세금을 내야하고, 그 중에서 증여세가 많이 부담이 되는 부분입니다. 그럼 하나하나 알아가 볼까요?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공제대상

증여세는 증여 관계에 있는 주고 받는 양자간에 [누구]에게 증여를 했느냐에 따라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몇 년에 걸쳐 여러번을 나누어 증여를 해도 10년 이내의 합산금액으로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10년!




2017년 1월 9일 현재 어떤 가족관계에 있느냐(증여세 공제대상)에 따라 공제받는 공제액수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우자의 경우 최대한으고 6억원

직계존속 (계부모 포함)에 대한 증여는 성년자는 5천만원, 미성년자의 경우 2천만원까지 공제한도가 된다고 합니다.




증여세율



증여세율의 경우 과세표준이 늘어날수록 공제액도 늘어나지만 세율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30억을 초과하는 경우는 절반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네요.


위의 증여세 세금이 기본이율이지만 특수이율을 적용할 때가 있습니다.


특수이율로는 창업자금으로 증여, 중소기업주식을 가업 승계하는 용으로 증여 받게 될 경우는 각각 5억원이 공제되게 됩니다. 하지만 중복과 명의신탁재산도 공제는 안된다고 하네요.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할 경우 할증세액 30%가 붙으며, 농지는 전부 다 공제 가능, 직접 경작 거주하면 전액 세액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증여일부터 최소 3년 이상 영농, 증여받는 분, 하는 분 모두 다 해당되게 됩니다)


위에서 보신 것처럼 증여는 10년이라는 기한과 증여세율에 따라서 미리 장기적으로 계획을 하셔서 진행해야 절세를 할 수 있게 됩니다.


현금이나 금융자산 증여보다 부동산 증여가 더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이 이야기를 하는데 이 역시 시간가치를 염두에 다셔야하구요.

증여받고 3개월 이내에 매도하시면 추장당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꿀팁깡패 입니다.

주식을 1은 알게된 꿀팁깡패가 오늘은 대한민국 주식시장 점유율 1위 '키움증권'의 주식수수료 계산에 대해 포스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저도 키움증권 주식을 시작하게 되었고 배워보자는 의미로 차근차근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는 주식수수료와 주식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키움증권 수수료는 주식을 매수할때 발생되는 주식매수수수료와 주식매도 시 발생하는 주식매도수수료 그리고 매도시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키움증권 영웅문을 이용시 수수료 

주식매수 수수료 0.015%

주식매도 수수료 0.015%

주식매도시 증권거래세 세금 0.3% (매수매도시 발생하는 총 비용은 0.33% 입니다.)




예를 들어 100,000원에 주식을 1주 사서 120,000원에 매도 했다고 가정 키움증권의 주식수수료 영웅문 수수료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수 100,000원

주식 매수 수수료 100,000 * 0.00015 = 15원


매도 120,000원

주식 매도 수수료 120,000 * 0.00015 = 18원

주식 매도시 세금 120,000 * 0.003 = 360원


100,000원에 사서 120,000원에 팔았기때문에 20,000원의 수익이 생겼습니다.

수익률이 (20,000/100,000)*100 = 20% 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적인 수익은 20,000 - 396 = 19,607원 이 되게 됩니다.

즉 실제 수익률은 (19,607/100,000)*100 = 19.697%가 되게 됩니다.


주식 거래시 수수료와 세금이 발생하게 되므로 매수 매도는 신중하게 해야 된다는 점!




*주식을 팔아서 손실을 봤는데 거래세까지 내야 되나요?

주가가 액면가(기업이 주식을 최초로 발행할 때 정한 주식 1주당 가격)이하로 떨어진 종목을 매도하거나, 새로 상장된 종목 중 공모가 이하로 떨어진 종목을 매도할 경우에는 거래세(매도시 발생하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Smile하게 즐기자! 혜택 톡톡!! KB국민 청춘대로 톡톡카드 "


안녕하세요. 꿀팁깡패 입니다.

신용카드! 혜택 오늘은 스마일하고 스타일리쉬한 카드 청춘대로 톡톡카드 혜택을 가져 왔습니다.

스타벅스 50%, 버거/패스트푸드 20%, 간편결제 Pay 10% 청구할인이 있는 청춘대로 톡톡 카드 자세히 살펴볼까요?




청춘대로 톡톡카드



KT국민카드는 2~30대를 겨냥한 청춘대로 카드를 중심으로 청춘대로 톡톡, 매니아, 1코노미 카드 등이 출시되었습니다. (젊은층 고객 즉 사회초년생들의 선택범위를 다양하게 넓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청춘대로 톡톡 카드는 '청춘대로' 시리즈 중, 가장 먼지 출시 되었기에 가장 기본적인 카드가 될 수 있는데요.






청춘대로 톡톡카드 주요혜택

앞서 소개드린, 스타벅스 50% (월 할인한도도 넉넉한건 뽀너스), 패스트푸드 업종도 20% 청구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간편결제로 온라인 쇼핑몰,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사용가능한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PAYCO, 카카오페이 등 각종 간편결제시에도 10%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청춘대로 톡톡카드는 KB국민은행 영업장에서 발급이 안되고 반드시 온라인을 통해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젊은 고객층이 주 타겟인 만큼 청춘대로 카드는 혜택의 내용을 카드에 담아내는 스타일리쉬한 디자인 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청춘대로 톡톡카드 상세혜택



하나씩 살펴보기에 앞서 청춘대로 톡톡 카드는 월 실적 30만원 이상인 커피와 패스트 푸드를 즐겨하는 거기에 쇼핑까지 즐겨하는 젊은 층이라면 두말할거 없이 최고의 카드가 아닌가 생각한다.





청춘대로 톡톡카드 간단정리 총평

신용카드를 쓰는 고객중 월 30만원에 맞춰 커피, 패스트푸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한다면 청춘대로 톡톡카드를 발급받아 알파원 카드로 혜택을 누려봄직 하다, 하지만 실적이 30만원이 되지 않고 소비금액이 30만원에서 머물게 된다면 굳이 청춘대로 톡톡 카드 보다는 다른 카드를 찾아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실적이 만족된다면 커피족과 햄버거족들에게는 많은 혜택을 제공하지만 주 카드로 쓰기보다는 서브 카드로써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알파원 카드에 대한 포스팅을 참조해서 자신에게 맞는 혜택을 선택적으로 스마트한 국민카드 사용을 하길 권장한다.


2017/09/05 - [금융꿀팁] - KB국민카드 알파원카드 혜택 정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