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이란 국민에게 발생한 사회적 위협을 보험방식에 의해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사회적 위협의 종류에는 질병, 노령, 실업, 사망 등을 말하며 4대보험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 건강보험 또는 질병보험, 연금보험, 고용보험제도 입니다.
직장을 다니는 분들의 의무 가입인 4대보험,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해서 납부되는 세금이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 사용방법
오른쪽 하단에 '4대보험 계산기'를 선택해 주세요.
4대보험 계산기 화면입니다.
연금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건ㄱ아보험료, 산재보험료 4개를 모두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1. 연금보험료 계산
: 신고소득월액 300만원일 경우
월급이 3,000,000원일 경우
국민연금에 납부할 세금 : 135,000원 / 회사 측 부담 (50%) : 135,000원 이 되게 됩니다.
2. 고용보험료 계산
: 신고소득월액 300만원일 경우
월급이 3,000,000원일 경우
납부할 세금 : 46,500원 = 근로자 부담 (19,500원) + 사용자 부담액 (27,000원) 간편하게 계산되죠?
3. 국민건강보험 계산
: 신고소득월액 300만원일 경우
월급이 3,000,000원일 경우
개인과 회사가 각각 97,810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4. 산재보험료 계산
: 신고소득월액 300만원일 경우
산재보험료는 다른 사이트로 접속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보험료 산정은 최대 10명까지 지원이 됩니다.
본인이 근무하는 회사가 고용산재보험에 가입이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우리회사 보험관리번호조회하기에서 업종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4대보험 계산기로 본인이 납부하는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금액이 어떻게 세금으로 나가는지 알아보는 것이 먼저이지 않을까요? 이번 기회를 통해 4대보험 계산기로 자신의 세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금융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P 카드 등록 (0) | 2017.09.17 |
---|---|
외환은행 환율조회 간단하게 조회하기 (0) | 2017.09.07 |
KB국민카드 알파원카드 혜택 정리 (0) | 2017.09.05 |
교통사고시 자동차보험 활용 노하우!! (0) | 2017.07.21 |
금리인하요구권 활용하기 (0) | 2017.07.20 |